'포털'에 해당되는 글 11건
- 2010.09.03 구글,한국형 초기 화면 포기 (6)
- 2010.07.16 포털쓰던 10대들의 움직임에 대한 반응 (9)
- 2010.07.13 포털 쓰던 10대들이 어디로 갔을까 (7)
- 2010.07.12 구글코리아,사이트 개편의 효과는?
- 2009.11.20 구글코리아,포털처럼 초기화면 바꾼다 (21)
- 2009.10.19 인터넷산업,성장엔진이 없다 (3)
- 2009.08.20 한국 인터넷,5년간 혁신 없었다 (4)
- 2009.08.16 포털이 꼭 해외에 나가야 할까요? (4)
- 2008.11.10 네이버,다음이 언론사 인수할까? (18)
- 2008.11.04 해외에 나가면 한국 포털 짜증난다 (226)
댓글을 달아 주세요
-
-
-
remer 수정/삭제 댓글쓰기
이글과 연관글 모두 재미있게 읽었습니다.저는'방문자'님 말씀처럼 높은 심의기준의 게임을 하기위해 부모님의 주민번호를 이용했을수도 있다는것에 동의는 하지만, 그러기엔 타 사이트에서의 10대 이용의 감소가 설명이 되지 않을수가 있다고 봅니다. 저는 다른분들과 다르게 원인이 다른곳에 있다고 봅니다. 아마 2차 베이비붐 세대가 10대에서 성인으로 넘어가면서 10대의 인구치가 줄지 않았나 싶습니다. 2차 베이비붐 마지막세대(저희년도만 60만명)인 제가 내년이면 성인이 되니 이러한 추세는 내년까지도 하락할듯 하며 그후부터는 차츰 수평을 이룰거라 봅니다. 결국 정작 10대의 움직임은 변하지 않았는데, 10대가 성인이 되어 10대의 인터넷이용이 줄어든것 처럼 보인다는거란 생각입니다.
2010.07.26 02:10 -
숲속얘기 수정/삭제 댓글쓰기
대학생층의 20대는 모르겠지만, 10대들의 SNS활용도는 의외로 높지 않은것 같습니다.. 이번정권들어서 점점 더 인터넷에서 애들을 쫓아내는 분위기인것 같기도 하고...
2011.08.08 11:04
싸이월드는 비교적 개인공간의 의미가 강했기 때문에 애들도 많이 놀았는데, 트위터는 훨씬 고연령화 된것 같고.
인구증가 + 교육열 과잉과 스마트폰 보급으로 인해 앱사용자로 숨어든거 아닌가 싶습니다. (물론 추측)
댓글을 달아 주세요
-
twinpix 수정/삭제 댓글쓰기
학원으로 갔을겁니다. 야자하는 학교에 있던지요. 혹은 ebsi와 megastudy에 갔던지요.
2010.07.13 17:44
수년전에 10대 커뮤니티 사이트를 운영한 적이 있는데, 해가 넘어갈때마다 방문시간대가 1시간씩 뒤로 밀리는게 참 재미있었습니다.. 10시부터 몰리고 11시부터 몰리고 밤12시부터 몰리더니 새벽2시 뒤로까지 밀리고... -
-
비프리박 수정/삭제 댓글쓰기
또 하나의 가능성은 로그인을 하지 않고
2010.07.13 21:08
포털에 접속하는 게 아닌가 하는 건데요.
제가 접하는 아이들은 학교 게시판 들어갈 때 정도,
물건 살 때 정도, ... 로그인 하더군요.
포털 이용시에는 굳이 로그인할 필요를 못 느끼는 거죠.
(적고 보니 10대만의 특성이라고 하기엔 좀 무리가 있는 듯. 핫.)
댓글을 달아 주세요
-
-
오픈검색 수정/삭제 댓글쓰기
이런 시도가 잘 되었을때야 여러모로 새로운 바람이 불겠지만, 잘 안되었을 때는 구글이 한국 사업을 접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염려도 드는군요.
2009.11.20 17:27 -
크레타인 수정/삭제 댓글쓰기
아, 제발 그런일은 벌어지지 않았으면 좋겠군요 깔끔한 첫화면이 좋은데...물론 크롬을 사용하니 별상관없기도 하지만, 그래도 다른 포털의 그 시궁창같은 난잡함을 굳이 구글이 따라야할 필요가 있을지...유저들이 상당부분 다를텐데...이거 뭐 반대하는 의견을 구글쪽에 전달할 채널이 없을까요?
2009.11.20 21:18 -
-
Sibnt 수정/삭제 댓글쓰기
저는 깔끔한 구글첫페이지가 마음에 들었는데..
2009.11.21 20:48
조금 아쉽네요..^^; 어떤 영향이 있을지- 조금더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겠죠? :) -
거다란 수정/삭제 댓글쓰기
한국의 포털들이 긴장할만한 소식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네요. 첫 화면에 눈길 끄는 뉴스와 재미난 컨텐츠를 배치하는데 광고는 없이 깔끔하다면. 구글의 경쟁력이 상승할 수밖에 없겠죠.
2009.11.21 23:55 -
-
베타 수정/삭제 댓글쓰기
사실 국내에 그렇게 많지 않은 IT 종사자들 보다 더 많은 일반인들의 눈에 맞추는 것이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더 현명한 선택이었겠지요.
2009.12.04 19:35
게다가 제가 들은 바로는 메인페이지는 이게 매번 표시되는게 아니고 렌덤이라고 들었습니다. 또 렌덤으로 표시가 되더라구요 ^^;;;
이것도 저것도 아닌 부분에서 좋게 말하면 양쪽의 니즈를 맞췄다라고도 할 수 있지만 나쁘게 말하면 오히려 혼란만 가중 시키는 부분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검색 부분에서도 사실 뭐 원래 검색에 별다른 것도 없고 환영할 일이 아닐까 싶습니다 ㅎ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
댓글을 달아 주세요
댓글을 달아 주세요
-
promise4u 수정/삭제 댓글쓰기
제가 포털 몇군데를 거치면서 느낀 것은 덩치가 커진 상태에서 CEO가 혁신을 주문해봤자 직원들의 열정도 부족할 것이고, 관리자 위치에 있는 중역들의 성향으로 인해서 중간에 혁신이 차단이 되는 경우도 생길 것이고, 혁신을 위해서 비용들이 생겨나는 것들에 대해서 회계 쪽에서 부정적일 것 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2009.08.21 15:01
이러한 환경에서 포털이 혁신을 위해서 투자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스타트업이 많이 생겨날 수 있도록 스타트업들과 서비스제휴 또는 물적/자원적 투자를 하여 그 스타트업 서비스들 중 궁합이 맞고 훗날 킬러서비스가 되는 사례를 만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
숲속얘기 수정/삭제 댓글쓰기
창조적인 아이디어는 많아도 프로토타입이라도 만들만한 (개발자경우)시간이 없거나 (기획자경우)혹은 기술이 없거나인 경우가 많은듯.
2009.08.22 11:14
댓글을 달아 주세요
댓글을 달아 주세요
-
전직원 수정/삭제 댓글쓰기
이대로 가다가는 기자들만 가질 수 있는 특권이 줄어들고, 기자간담회라든지 기자시사회가 특정분야에 유명한 블로거들을 초대하는 블로거간담회나 블로거시사회로 바뀔 여지는 얼마든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렇게 되면 새로운 형태의 개인화된 언론이 존재하고 검색엔진이 롱테일의 간극을 메꿔주면... 임기자님 말씀대로 굳이 인수까지 할 필요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만 한 번 움켜쥔 권력은 그렇게 쉽게 이동하는 것 같지도 않습니다. 기존 언론의 보복이 두려워서라도 암묵적인 기자계급의 특권은 쉽게 변하지 않을 것 같구요~ 역설적으로 그런 연유로 또 거대 포털이 언론을 인수할만한 것 같기도 합니다~
2008.11.11 00:22 -
뜬모씨 수정/삭제 댓글쓰기
아주 불가능한 상상은 아닐 것 같습니다. 이미 중소매체들(특히 연예관련)은 태터툴즈와 같은 블로그 서비스업체와 '제휴'라는 미명 아래 광고수익을 보장받으며 다음블로거뉴스에 종속되고 있지 않습니까. 블로거뉴스인 줄 알고 보았더니 사실은 어엿한 중소 언론매체의 기사인 걸 알고 포털의 힘이 무섭다는 걸 느낀 적이 한두 번이 아닙니다. 2-3년 전만 해도 필요한 정보가 있으면 각각의 홈페이지를 찾아가서 보곤 했는데, 요새는 정말 포털 아니면 굳이 찾을 홈페이지가 없더라고요. 이러나저러나 포털의 힘이 장난아니게 세진 것이 사실입니다. 특히 네이버보다는 다음이 (의도했건 아니건간에) 적어도 인터넷상에서는 여론장악력이 무섭게 크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2008.11.11 10:35 -
포털사이트와 방송사가 결합한다면? 수정/삭제 댓글쓰기
예를 들어 인기 있는 라디오 프로그램이나 TV 토크쇼(스펀지 같은 경우), 토론 프로그램 같은 것들은 포털 사이트 내에 별도의 게시판을 만들어 놓는 경우도 많은데, 포털 사이트의 카페나 블로그 기능 등을 활용해서 방송사의 프로그램 홈페이지처럼 활용한다면... 혹은 드라마 같은 데서 나오는 소품이나 OST 등을 파는 쇼핑몰을 만든다든지 한다면... 재밌을 것 같군요. 방송에 대한 시청자와 청취자의 참여를 많이 높일 수도 있을 듯 합니다.
2008.11.11 13:09 -
-
바보천사 수정/삭제 댓글쓰기
다음미디어는 언론에 대한 야심이 있는 건 분명 해 보입니다.
2008.11.11 17:13
포털이 언론을 인수한다! 반대로 언론이 포털화 될 수도 있겠습니다.
포털이 언론과 합력사 관계까지는 괜찮다고 생각되지만 만약 포털이 언론사가 된다면 사회적으로 큰 파장이 있을 듯 합니다.
다음과 네이버.
또다른 조선일보와 경향신문이 될까요? -
글쎄요 수정/삭제 댓글쓰기
오히려 현정부의 인터넷 포털 장악 및 압박 전략의 일환으로
2008.11.11 21:43
포탈을 언론사로 몰고 있으니
포탈 입장에선 이러나 저러나 언론사 취급이라면 진짜로
언론사 인수하서나 설립하는 것도 나쁜 선택은 아닌걸로 보이는군요. -
-
도이모이 수정/삭제 댓글쓰기
충분히 가능한 시나리오 같네요. 다만, 다음은 명박이에게 상당히 찍혀 있는 상태이며 언론사들과 관계가 상당히 나빠져있는 상태여서 복잡하게 고민할 것은 많이 보입니다.
2008.11.16 16:27 -
-
wonkis 수정/삭제
역시 그런 논의에 대해 잘 아시는군요.그런데 일부 분들은 이런 논의에 대해 터무니없는,머리 속으로 상상만 한 것을 함부로 쓰지 말라는 지적도 하시더라구요.여러가지 견해가 있을 수 있겠습니다만,
2008.12.04 15:47
저 역시 님 의견에 상당히 동의하고 있기에 이렇게 글을 써 본 겁니다.저 역시 기자의 변화라던가 언론사의 변화에 대해선 워낙 하고 싶은 얘기들이 있지만,사실 좀 얘기를 벌리기에 엄두가 나지 않기도 하고,스스로 정리가 좀 됐는지 자신이 없기도 하고 그렇네요.
글을 쓰기 위해선 참으로 수백번 수천번 생각을 해서 정리가 돼야하는 걸 새삼 절감합니다.
-
댓글을 달아 주세요
- 이전 댓글 더보기
-
-_- 수정/삭제 댓글쓰기
저도 해외거주자입니다만, 우리나라 포털 사이트는 거의 한국에 사는사람만 사용하니까 어쩔수 없죠. 그리고 이건 서버가 어디있냐의 문제이기도 하거든요. 그래서 온라인게임도 해외에서 하면 엄청 느려져요. 그리고 느리기는 해도 전 싸이월드, 다음등의 한국포털이 야후나 구글보다 이쁘긴 한거 같아요~ ㅋㅋ
2008.11.06 05:32-
& 수정/삭제
그리고 포털 대문에 있는 정보들, 거의다 쓸만해요. 인기 검색어라던지, 블로그&카페 글들이라던지, 영화광고라던지, 뉴스라던지, 웹툰이라던지, 전 거의다 대문 통해서 찾아가네요~
2008.11.06 05:46
-
-
캐나다벤쿠버 수정/삭제 댓글쓰기
캐나다 벤쿠버에 사는 사람입니다
2008.11.06 05:39
저는 한국포털이 전혀 안느린데요?
컴퓨터 문제아니에요 혹시 ㅋㅋ
저는 전혀.............ㅋㅋ 흠.......-
시드니 수정/삭제
네 컴퓨터 문제일수도 있습니다. 시드니에서 쉐어생활 할 때 컴퓨터가 너무 느려서 살펴봤더니 USB 를 통해서 퍼지는 autorun 바이러스가 깔려 있었고 그 외에 말로만 듣던 바이러스들이 죄다 깔려있더군요. 신종이라 그런지 백신에서도 잡아내지 못하고..
2008.11.06 10:04
인터넷이 느려 터지고..
XP 밀고 새로 깔고 레지스트리 최적화 시키고 잡다한 기능들 다 껐더니 한국사이트에서 다운로드속도가 1M 가 넘게 나오더군요.
겉보기에 이상이 없다고 해서 바이러스가 없는게 아닙니다.
바이러스 문제가 아니라면 Telstra 회사가 바로 옆에 있어서 빨랐을수도. ㅋㅋ
-
-
ptr 수정/삭제 댓글쓰기
나원참.. 뭔 이딴게 메인에 뜨는지 원..
2008.11.06 07:06
다음넷 수준 알만하네요..
느린게 당연한거 아닙니까? 이게 기사로 언급할만한 사안이 되나요? -0-;;
해외와 한국간의 회선이 2~3개는 되는줄 아는건지 원;;
국가간 인터넷망은 단일회선에 속도도 그다지 빠르지 않고
정보소통만 가능하게 연결되있기땜시 느린게 당연한거유.. -
달의뒷면 수정/삭제 댓글쓰기
이 기자놈.. 뉴라이트 매국노 아냐? 다른 글 성향도 한국 비하하는 내용이 많네..
2008.11.06 07:47
자기 가족 욕하면서 나만 잘났다고 떠드는 놈 같으니..
우리 가족은 너무 멍청해.. 하지만 난 똑똑해.. 이럼 니가 더 똑똑해 보이니? -
탐험가 수정/삭제 댓글쓰기
음, 글쎄요...
2008.11.06 17:49
외국에서 느린건 저도 경험해봤는데 짜증나더라고요.
하지만 굳이 포탈을 쓸 필요성을 못느껴 자주 가는 hanrss와 gmail 등에서 필요한 업무나 정보취득을합니다...
굳이 국내용 포탈을 들어가면서 국제 규격에 안맞는다고 뭐라할것도 없어보입니다.....
아프리카에서 핸드폰 안터진다고 SK텔레콤을 나무랄 수는 없잖습니까...
수지타산이 않맞잖아요....
해외 나가면 그나라 망에 맞게 바꿔야죠.
핸드폰 로밍이 안되는 나라는 그나라 핸드폰을 새로 사야죠...
포탈에 너무 의존하는 한국인들의 인터넷 성향에 전 더 분개합니다...
왜 그렇게 포탈만 씁니까??
편해서요? 컨텐츠가 많아서요?
편하고 밥 떠주기만을 바라는 사용자들 덕분에 포탈들이 더더욱 무거워지는것 같습니다..
안타깝죠..
정보 독식과 독과점만 심해지는꼴이니...
전 한국인들의 독특한 인터넷 사용이 근본적인 원인이라 생각합니다.
좀 더 심플한 사이트가 더 많음에도 벌써 해외 나간사람부터 방대하다고 생각되어지는 사이트를 가려하니... 당연한 결과죠.
뉴스, 이메일, 블로그, 검색...모두 충분히 기능이 훌륭하고 가벼운 대안사이트가 많습니다.
기름값 아까워하는 사람이 에쿠스를 사는꼴이네요. -
Gomting 수정/삭제 댓글쓰기
나름 네이버 SE검색( http://se.naver.com/ )이 인터넷환경이 열악해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검색이긴하죠.
2008.11.06 22:36
한글 자판이 없을 경우를 대비해 마우스로 입력가능한 한/영자판도 만들어놓고...
네이버야 메인 광고들이 노출이 안되니 장려하고 싶진 않겠지만 유저입장에선 나름 괜찮은 서비스인듯 합니다.-
지나가다가... 수정/삭제
이미 오래전부터 다음도 심플한 통합검색이 있었죠. http://ws.daum.net 이라고...
2008.11.06 06:45
물론 웹문서 검색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가쉽거리나 이슈성 정보를 찾기엔 많이 부족한 것 같네요.
댓글을 달아 주세요
앞으로도 쭉 Google US 웹 페이지와 동일한 스타일로 유지했으면 좋겠습니다.
2010.09.03 20:26좋은 반응
2011.08.27 18:18가끔 가다 노출되는 자극적인 제목에 노출되서 시간까먹는 재미가 있었는데
2010.09.03 20:37막상 또 없어지니 심심하긴 합니다 하하.
포털에서 백화점식 정보를 한국사람들에 특성상
2010.09.06 10:23그간의 구글메인은 한국형이라고 보기도 애매했던것 같습니다
차라리 포기하는게 좋은 선택인것 같네요
구글이 애매한 선택을 했던 것은 맞습니다.그래도 상당히 신속하게 실패를 받아들이고 접은 것은 잘 결정한 일인 듯 싶네요
2010.09.06 21:46한국형 첫페이지를 위해 노력했을 구글에 계신 한국분들의 노고가 결실을 보지 못하고 끝난 점이 아쉽기도하고, 구글이 앞으로는 한국어 검색에 더욱 신경을 쓰지 않게 될까 걱정이 들기도 합니다...
2010.09.06 15:52